- 광우병에 걸린 수만 마리의 소가 유통된 영국에서도 vCJD의 발병은 극히 미미한 수준입니다.
- 비슷한 질병인 쿠루의 사례에서 보면, 지금 보이는 데이터만 가지고 vCJD의 파괴력을 속단하기는 이릅니다.
- 하지만 쿠루의 경우를 보면 잠복기가 매우 긴 사람들의 비율이 그렇게 높지 않았으며, 따라서 다른 근거가 없는 한, 미래에 일어날 vCJD의 재유행을 심하게 걱정해야 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 설사 영국에서 계속 살아 왔더라도 인간광우병에 걸릴 확률은 그렇게 높지 않아 보입니다.
- 따라서, 미국에서 인간광우병에 걸릴 확률도 거의 '0'이며, 한국에서 미국 쇠고기를 통한 인간광우병을 걱정하는 것은 더더욱 기우에 가깝다고 봅니다.
11년동안 복어독으로 한국인구 5천만중에서 30명이 죽었는데 인구 3억의 미국은 여태까지 소위 인간광우병인 vCJD 로 사망한 사람이 3명. 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소가 183,823 마리에 vCJD 로 무려 163 명이 사망한 대영제국 (총인구 대략 6천만) 을 제외하고 다른 나라에서 인간광우병 발생은 거의 없다시피하다 (자료출처: 위키). 영국만 놓고보면 복어독보다 광우병이 더 위험해보인다만 지금 우리는 미국소고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니 미국하고 비교를 해야지?그러니 복어독하고 광우병하고 대체 어느 것이 더 위험하냐?
1) 고위험군 소 (앉은뱅이 소, 광우병 증상소, 죽은 소 등) 입니까? Yes 이면 식용으로 쓸 수 없습니다. 2 번으로 가십시오.
2) 검사결과 광우병 소입니까? Yes 이면 사료로도 못씁니다. No 라면 3번으로 가십시오.
3) 식물성 사료만 먹고 컸습니까? Yes 라면 사료로 쓰십시오. No 라면 4번으로 가십시오.
4) 30개월 이하 소입니까? Yes 라면 5-1 로, No 라면 5-2 로 가십시오.
5-1) 사료로 사용가능합니다.
5-2) 뇌와 척수를 제거하면 사료로 쓸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도 광우병의 위험성이 있기때문에 전수검사는 못하지만 분명히 시행중입니다.
과장이던아니던...우리 국민중에 단 한명이라도 나오게 되는걸 바라진 않습니다.
상한고기먹고 죽는이가 더 많은건 사실이지만 그것을 관리하기위해 노력해야하는건 당연한거고,
그와는 별개로 수입제한으로 광우병으로 인해 피해 볼 확률을 더욱 줄이자는것에 왜 반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2008-5-8 7:52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