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를 딸 것이다. 반드시

https://twitter.com/dromd/status/1189475045405413378?s=12

사람이 하는 일이 비싸면 로봇이 들어온다. 사람이 하는 일이 싸면 그냥 사람이 계속 한다.

영국은 인구가 줄어서 사람 값이 비싸지니까 증기기관이 나왔다. 동아시아는 쌀이 주식이 되면서 인구가 증가하자 사람값이 싸졌다.

심지어 가축을 안 쓰고 그냥 사람을 쓰기에 이른다.

로봇이나 AI가 발전하면, 양질의 중산층 일자리가 위험하고 엄청나게 많이 받는 굉장히 어려운 일과 엄청나게 싼 임금을 받는 일만 남게 될 거란 우울한 전망을 하게 되는 것도 바로 이때문이다.

농업에서 가축을 쓰다 사람을 썼지만, 현대에서는 역시 동아시아도 사람이 귀해져서 기계화로 넘어가고 있다.

농업에서 기계화의 끝판왕 하면 역시 미국인데, 미국에서도 기계화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고추.

대학생때 농촌 봉사를 간 적이 있었는데, 고추를 따는 일이 굉장히 힘들다는 것을 그때 알게 되었다. 어중간한 크기로 자라기 때문에 엉거주춤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따야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고추도 별 차이가 없다.

고추부심이 강한 뉴멕시코는 그래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추 수요는 충분한데, 일할 사람을 구하기가 힘든 것이다. 이민자가 많은 부분을 차지했었는데, 농업에 종사하는 이민자는 갈수록 줄고 있다.

99% invisible 에서 이 이야기를 다뤘다.

일하러 왔다가 오후에 포기하고 가버리는 사람도 있을 정도라 고추농업 자체가 위기인 것이다.

“We hire people every year, citizens here that need a job, and, ‘Oh, I can do that’. They quit by noon. It’s too hard. It’s not the money. They don’t want to stoop over and pick chili, or hoe weeds. They won’t do it. I mean, I’m not going to do it. Are you?”

기계화가 그럼 답일텐데, 고추는 덤불 안에 자라고 줄기에 강하게 붙어 있기 때문에 기계가 비집고 들어가서 따는 것은 굉장히 어려워서 여러 시도가 있지만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The successful crop automations of the past might make you think that the chili pepper is an outlier, a stubborn holdout against two centuries of agricultural and technological progress, but in fact, chili is just one of many crops that machines still can’t harvest as well as humans, if at all.

여기서 사람들은 포기를 하지 않는다.

“기계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면, 기계가 작업하기 좋게 작물을 개량하면 되잖아?”

This means if you want to automate a harvest, you can’t just find a great machine. You have to make your plants more standardized, like cars. So for the past five years, most of Stephanie’s work has been about breeding a whole new plant, one that is designed specifically to be picked by a machine.

곧 결실을 맺는다고 한다.

농업도 결국 비싸지는 일은 로봇이 하고, 싼 일은 인간이 하게 되는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

감자튀김에 대하여

맥도날드 감자튀김을 좋아했다. 한국에 와서 주변에 맥도날드가 없어서 맥도날드의 감튀를 먹지 못했지만, 하교길 허름한 국산 햄버거집에서 ‘프렌치프라이를 케첩에 찍어먹기도 했다. (이것도 처음엔 어색했다. 일본에서는 프라이드포테이토라고 했고 캐첩을 안 줬다. 그래서 한국이 이상한 것이라 생각했는데, 사실 일본이 이상한 것이었음.) 그래도 문득 맥도날드의 감튀가 생각나는 것이었다.

그러다 1988년 압구정동에 맥도날드가 생겼고 사람들이 줄을 서는 모습이 뉴스에 나왔다. 사실, 그때 좀 충격을 받았었다.

국내 맥도날드 1호점은 언제 어디있었을까?

‘아, 난 맥도날드가 없는 나라에서 살았구나. 그냥 내가 사는 주변에 맥도날드가 없는 줄 알았지. 근데 한국 1호점이 동네에 생기네.‘

맥도날드 감튀를 먹을 수 있게 되었고, 일본과 달리 캐첩도 준다!

하지만 어느새 맥도날드 감튀가 추억 만큼 맛있지가 않았다. 그냥 추억보정 때문인줄 알았는데, 심장마비로 가족을 잃은 사람이 소송을 해서 레서피가 바뀌었기 때문이란 것을 알았다.

Revisionist History Podcast: McDonald’s Broke My Heart

이렇게 감튀가 한 번 맛 없어졌는데, 또 다른 복병이 생겼다. 그것은 바로 배달이다. 감튀는 튀긴지 5분안에 먹어야 가장 맛있다고 한다. 겉은 바삭하고 안은 촉촉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달이 활발해지면서 이 감튀가 최상의 상태로 사람들에게 가지 못하게 되었다. 이렇게 눅눅해진 감튀를 사람들이 먹게되면, 감튀 자체의 수요가 줄어들 것을 우려한 감자업자가 가만히 있지 않았다.

Lamb Weston이라는 냉동감자 업체는 중국에서 배달업이 활발해지는 것을 보자, 곧 미국에서도 비슷한 바람이 불 것이라 예상했고, 감튀 자체의 수요가 줄 것을 우려했다.

사실, 미국에서 드라이브스루 매장이 생겼을 때도 비슷한 우려가 있었다. 평균 20분 정도 후(집에 가져가서) 먹게되는데 역시 눅눅해진 감튀로 수요가 줄게 될 것을 우려한 업자는 연구개발을 통해 20분 정도는 바삭함을 유지하도록 겉에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었다.

이번엔 40분(배달업자가 여러 업소의 음식을 픽업해서 배달함으로)간 바삭함을 유지하는 방법을 마련해야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수분. 수분을 어떻게 안은 촉촉하고 겉은 바싹하게 유지할 수 있게 관리하는가가 관건이었다.

결국(기업비빌이라 자세히 공개는 인 했지만, 튀기는 과정에서 공기방울을 이용), 45분은 겉은 바싹하고 속은 촉촉한 감튀를 개발해 내는데 성공했다. 아직 패스트푸드점이 도입은 안 하고 있는데 몇달 안에 도입될 전망이리고 한다.

View this post on Instagram

#cat #catstagram #ねこと暮らす

A post shared by DongJin Lee (@nyxity) on

요새 버거킹에서 (맥이 배달 안 되는 동네에 살게 되었다) 자주 배달해서 먹는데, 감튀를 볼 때마다 위 이야기가 생각난다. 어서 도입이 되어서 맛있는 감튀를 먹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스포츠와 내셔널리즘

요새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Daily에서는 유럽의 문제를 시리즈로 다루고 있다. 독일, 프랑스, 이탤리까지 왔고 각 나라의 EU에 대한 감정과 국우 정서의 대두 등을 깊이 있게 취재하는 내용이다.

리포터는 독일 출신인데, 미국으로 왔을 때 여기저기 미국국기가 걸려 있는 모습이 굉장히 어색했다고 한다. 독일에서는 국기를 내거는 것을 약간 터부시 하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하지만, 2006년 독일 월드컵을 계기로 독일 내에서 거리낌 없이 독일 국기를 사람들이 내걸기 시작했다고 한다.

In 2006, Germany hosts the soccer World Cup. Suddenly, you see Germany flags being flown across the country. And it’s a moment.

It’s funny, this was new to me. You know, I don’t actually recall, as somebody growing up in West Germany, seeing German flags, like, ever, because it was kind of a taboo. And I remember traveling to the United States for the first time as a teenager and seeing all these flags. And it kind of shocked me because, to me, it just looked like nationalism, and nationalism was bad. But now, the German flag was back. And it’s kind of fascinating, actually. It’s through all these decades of atoning for its history, through this embrace of a united Europe and liberal values, that Germany has actually come to feel more comfortable again with its own national identity.

이 이야기를 듣자마자 떠올렸던 것을 2002 한일 월드컵이었다.

일본인 기자가 칼럼에서 한국의 월드컵 응원의 분위기를 보고, 솔직하게 낼셔널리즘을 표출하는 것이 부럽다고 쓴 것이다. 일본도 독일 처럼 뭔가 국가를 내세우는데 터부시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이 기사를 찾으려고 했는데, 해당 기사는 링크가 사라졌다.

그러고보니 일본의 언론사는 참 시대에 맞지 않는다. 그 당시 그 칼럼을 찾으려고 했더니 링크자체가 사라졌다. 일본 언론기사는 시간이 지나면 링크가 사라지는 경우가 흔하다.

한국은 챈들러를 ‘드라마 프렌드의 챈들러’라는 해설을 덧붙여서 웃음거리로 전락한 기사가 지금도 볼 수 있는데 말이지.

판타지 소설의 혁신 일으킨 걸작(문제의 그 기사)

다행히 Evernote에 해당 칼럼을 저장해 놓았다.

私の苛立ちの根底にあったのは、韓国人に対する「羨望(せんぼう)」であった。ただし誤解していただきたくないのだが、私は彼らがベスト4に進出したことを妬んでいるのではない。私は今でも、日本のベスト16進出を高く評価しているし、誇りにさえ思っている。問題は、そんなささいなことではないのだ。

 想像してほしい。仮に日本と韓国が、今大会において逆の立場だったら、どうなっていたか。おそらくその熱気は、今の韓国以上の盛り上がりを見せたことだろう。街中で人々が青いシャツを着て練り歩き、あちこちで日の丸が振られ、夜通し「ニッポン!」コールが叫ばれていたことだろう。若者たちは一様に「日本サイコー!」「日本人に生まれてよかった!」などと、狂ったように絶叫していたかもしれない。少なくとも、これまで日本では考えられなかった未曾有(みぞう)の社会現象が発生していたことは、十分に考えられる。

するとどうなるか。ことはサッカーの話では済まされなくなる。日本に突如発生したファナティックなナショナリズムに対して、韓国を含む周辺アジア各国は眉(まゆ)をひそめ、わが国への嫌悪感をあらわにすることだろう。当然、国内のメディアも「日本の右傾化、ここに極まれり」などという見出しを掲げて、国民に警戒心をあおるはずだ。最悪の場合、サッカーそのものが攻撃対象となる恐れさえある。

 結局、そこで一番傷つくのは、素直に日本代表の勝利に酔いしれたい人々である。彼らは、押さえ切れない歓喜と、折からの自粛ムードとの板ばさみに遭って、せっかくの祭典を台無しにされた想いばかりが募ることだろう。とりわけ日本の若者たちは、本来ワールドカップで許されるはずの純粋なナショナリズムの発露を、日本人であるがゆえに味わえない不幸を嘆き、さらには自らの宿命を呪うことだろう。

 隣国・韓国に許されて、私たちには許されない、純粋なナショナリズムの発露――これこそが、私の彼ら韓国人に募らせる「羨望」の正体であった。

韓国の人々が今大会で見せた熱狂は、図らずも、私たち日本人が背負わされた「業(ごう)」を見事に顕在化するものであった。もちろん、この国の人々にそうした意図がなかったことは私も理解している。むしろ彼らの喜びは、実に邪気がなく、天真爛漫(てんしんらんまん)にさえ思えた。しかし、それだけに私は、わが祖国の「業」の深さをあらためて思い知らされ、ひとり苛立っていた次第である。以上、告白、終わり。

(번역)

내 짜증의 근저에 한국인에 대한 선망이었다. 다만 오해를 하지 않기를. 나는 그들이 베스트 4에 진출한 것을 질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지금도 일본의 베스트 16진출을 높이 평가하고 자랑스럽게만 생각한다. 문제는 그런 사소한 게 아니다.

상상했으면 좋겠다. 만일 일본과 한국이 이번 대회에서 반대 입장이었다면 어땠을까. 아마 그 열기는 지금 우리보다 더 달아오른 것 같다. 길거리에서 사람들이 파란 셔츠를 입고 행진하고, 여기저기서 일장기가 나부끼고, 밤새 ‘니폰!’ 콜이 울려 퍼졌을 것이다. 젊은이들은 한결같이 “일본 최고!” “일본인으로 태어나서 다행이다!” 등 미친 듯이 절규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적어도,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미증유의 사회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 축구 얘기로는 끝나지 않는다. 일본에서 갑자기 발생한 국가적인 내셔널리즘에 대해, 한국을 포함한 주변 아시아 각국은 눈썹을 찌푸려 우리나라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낼 것이다. 당연히 국내 언론도 ‘일본의 우경화, 심하지다’ 제목으로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것이다. 최악의 경우 축구 자체가 공격 대상이 될 우려마저 있다.

결국 거기서 가장 상처받는 것은 순순히 일본 대표의 승리에 도취하고 싶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누를 수 없는 환희와 때마침 자숙하는 무드에 끼여, 모처럼의 축제를 망쳐버린 느낌만 더할 것이다. 특히 일본의 젊은이들은 본래 월드컵에서 허용될 순수한 내셔널리즘의 발로를 일본인이기 때문에 맛볼 수 없는 불행을 한탄하고, 나아가 자신의 숙명을 저주할 것이다.

이웃나라 한국에 허용되었지만, 우리에게 허용되지 않는 순수한 내셔널리즘의 발로–이것이야말로 나의 한국인에 대한 선망의 정체였다.

한국인들이 이번 대회에서 보여준 열광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일본인이 짊어진 ‘업’을 현저화시키는 것이었다. 물론, 이 나라의 사람들에게 그러한 의도가 없었던 것은 나도 이해하고 있다. 오히려 그들의 기쁨은 정말 순수하고 천진난만하기까지 느껴졌다. 그러나 그런 만큼 나는 우리 조국의 업의 깊이를 새삼 깨닫고 혼자 힘겨워하고 있었다. 이상 고백 끝.

– 宇都宮徹壱/Tetsuichi Utsunomiya

하지만, 한일 월드컵 이후, 일본은 한국을 부러워할 필요가 없어졌다. 넷우익을 대표로 극우주의적인 분위기가 팽배해졌고, 혐한, 혐중 컨텐츠가 미디어를 장악하고 있다. 아베정권은 그런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고.

독일이나 일본이나 월드컵에서 국기를 내걸고 내셔널리즘을 표출하기 시작했고, 그것이 원인이 아니지만, 향후 극우적인 모습을 보여도 된다는 분위기 형성에 일조를 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이 점점 현재 유럽의 극우 세력의 대두,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의 백인우월주의의 대두처럼, ‘그래도 된다’는 시그널링을 계속 보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국가 대항전 성격이 강한 국제 스포츠를 싫어한다.

잭 보글을 추모하며

경제학적으로 올마른 투자법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경제학적으로 올바른 투자 방법

뱅가드사를 설립하여 S&P 500에 대한 인덱스펀드를 만들고 수익률에서 액티브펀드를 압도하여 이론이 맞음을 실증한 잭 보글이 사망했다.

추모의 의미로 즐겨 듣는 팟캐스트인 Planet Money에서 인터뷰를 다시 들었다.

BOGLE: And he basically said, to cut through his more elegant words – would somebody somewhere please start an index fund? And I thought – why not me?

 

BOGLE: It is the essence of boredom. I’ll concede it. If you’re in investing for excitement, you are a damn fool. You’re watching the market every day – up and down, 100-point – 200, 300, 400-point swings day after day. It’s exciting, but it’s meaningless.

 

planet money의 indicator에서도 추모 방송이 있어서 저 에피소드를 인용했다.

BELL: Because he really fought for them. Most of our readers are individual investors, so the kind of people who, you know, on their own are trying to save for the future. And he was somebody who looked out for people like that.

 

개인에게도 투자의 기회를 열어준 덕분에?돈을 벌 수 있었다. 감사를 드리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경제학적으로 올바른 투자 방법

재테크다 뭐다 정보가 많지만, 여러 투자방법 중 경제학적으로 올바른 투자법이 이미 나와있음에도 잘못된 방법으로 리스크를 안고 투자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래서 한 번 이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경제학적으로 올바른 투자법은 그 결론에 이르는 과정은 관련된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는 좀 어렵지만, 결론은 무척이나 간단해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조언은 많이 들었겠지만, 그렇다면 어떻게 담아야 하는가에 대해 말해주는 경우는 잘 없다. 하지만, 경제학에서는 어떻게 담아야 하는지 결론을 내리고 있고, 그 수학적인 해는 하나만 존재한다. 즉, 시장전체를 담아야 하는 것이다.

현대포트폴리오 이론의 창시자 마코비츠는 하나의 주식을 보유하는 것보다 복수의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 같은 리스크로 보다 높은 리턴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그리고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는 시장전체에 투자하는 것이라는 발견을 하게 된다.

간단하게 CAPM이론을 설명하면, 주가변동은

  1. 개별주 고유 움직임(알파)
  2. 시장 움직임에 반응하는 움직임(베타)
  3. 예측 불가능한 이벤트

이 3가지로 이뤄진다. 복수의 주식을 보유하면 3. 비시장 리스크, 즉 통계상의 예측 불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포트폴리오 가격 움직임은

  1. 개별주 고유의 움직임(알파)
  2. 시장반응도(베타)

이 두가지 요소로 결정된다. 이때 알파치는 일정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리턴은 베타의 크기에 결정된다. 그러면 여기서 나오는 결론은 하나다.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는 주식시장의 축소 복사판 즉, 시장전체에 대한 인덱스가 된다.

수학적인 설명을 빼고 이 결론에 도달한 과정을 아주 거칠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가는 브라운운 동처럼 랜덤하게 움직이며 주가 변동은 확률적으로 예측할 수 밖에 없다.
  2. 주가는 랜덤워크이기 때문에 시장참가자는 누가 더 유리하거나 하는 사람은 없다.(효율적 시장가설)
  3. 그 경우 합리적인 투자가는 동일 정보, 동일 기준, 동일 판단에 따라 동일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게 된다.

그렇다면,

  1. 모든 투자가가 가진 포트폴리오를 더하면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주식의 시가총액이 된다.
  2. 모든 합리적인 투자가는 효율적시장에서 동일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게 된다.
  3. 그렇다면, 투자가가 보유하는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는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주식을 시장에 존재하는 비율대로 보유하는 것(즉, 인덱스 펀드)이 된다.

사실, CAPM(자본자산가격모델)에 대해 여러 비판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맞다고 보고 있다. 단적으로 액티브펀드와 패시브펀드(인덱스펀드)의 수익률 비교를 해보면 패시브펀드를 이기는 액티브펀드는 거의 없다. 있다손 치더라도 기간을 늘리면 결국 패시브펀드의 수익률이 이기는 경우가 많다.

결국 결론을 내리자면,

  1. 주식투자는 확률게임이며 절대적으로 버는 방법은 없다.
  2. 주식시장은 효율적이지만 단기적인 왜곡이 발생한다.
  3. 그 왜곡은 유능한 투자가가 발견하고 바로 소멸된다(이 과정에서 유능한 투자가는 단기적으로 돈을 벌 수 있다.)
  4.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장기적으로 시장은 확대되며 주가는 상승한다.(그게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5. 인덱스펀드는 장기적인 사장의 확대과정에서 부를 얻는 방법이라 시장의 왜곡은 이용할 수 없어 평균이상의 운용성적은 낼 수 없지만, 시장평균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투자가는 시장평균 이상의 수익을 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단기적인 시장의 왜곡을 찾아내서 평균이상의 수익을 만들어내는 전업투자가가 아닌 이상, 보통 사람은 그냥 속 편하게 인덱스펀드에 투자하고 시장평균의 수익을 향유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그래서 나는 KOSPI와 S&P500 인덱스에 투자하고 있는데, 누적 수익률은 30~40%를 기록중이고, 연환산 수익률은 8~10%를 보이고 있다. 이론대로의 수익률.

See also?Capital asset pricing

 

출산율 저하, 결혼 기피 현상의 원인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우연히 에코노미스트의 두 기사가 같이 떴다. 한국의 출산율 저하와 아시아의 결혼기피 현상이다.

이 현상의 원인은 하나다. 그리고 해결책도 하나이다.

‘출산율’ 버리고 ‘성평등’ 택한 스웨덴, 출산이 늘었다

일·가정 양립 정책의 주 정책 대상도 ‘워킹맘’이었다. 직장에서 일도 하면서 무임금 가사노동과 돌봄까지 여성의 몫이 되자, 출산과 육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회사를 그만둬야 경력단절 현상이 확산됐다. 세계 최고 수준의 성별 임금격차와 끊임없이 발생하는 직장 내 성희롱도 여성이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하지 않는 주요 원인이다. 한국 여성에게 결혼이나 출산은 더이상 행복이 아닌 ‘위기’ 다.

 

“페미니즘이 한국을 구할것….변화는 순식간에 온다”

단순히 인구정책으로 안된다. 페미니즘을 통해서 변화가 온다. 저출산은 다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지만, 다른 문제가 일으킨 결과이기도 하다. 과거의 여성과 달리 지금 여성들은 일도 잘해야하고 가정일도 잘해야한다. 이런 부담을 지워서는 출산율이 높아질 수 없다. 스웨덴은 인구정책이 아니라 양성평등과 관련된 변화에서 출산율이 반전됐다

저출산 극복은 인구정책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페미니즘을 통해 적극적인 양성평등이 이뤄질 때 변화가 시작된다. 한국의 출산율 감소는 정도를 넘어선 것처럼 보이지만, 이대로 한국이 사라지도록 한국인들이 두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인들이 의지만 갖는다면 그 변화는 순식간에 온다”

그 변화는 순시간에 올 줄 알았는데, 요새 분위기를 보면 대학가에서는 총여폐지가 진행되는 등, 페미니즘에 대한 증오와 백래시가 어마어마 해서 그냥 한국은 사라질 것 같다. 계속 이런 식이라면 사라져도 할 말 없고.

야구엔 고양이

뉴욕타임즈에 올라온 흥미로운 기사

Think Baseball Is Boring? Maybe a Cat Will Help – The New York Times?

https://twitter.com/Marlins/status/851975293124345856

그런데 하루 사이에..

고양이 난입이 하일라이트로 다뤄진다!

역시 야구엔 고양이다!

근데 야구만이 아님.

축구에도 고양이가 답이다.

 

그레이프후르츠(일명 자몽) 먹는 법

시작은 물도님의 트윗이었다.

이 말에 맛있게 먹는 방법을 알려드려야겠다는 의무감(!)이 생겨서 멘션

그래서 숟가락으로 파먹는건데!

이참에 먹는 방법을 트윗

예전엔 구하기 힘들었는데, 요샌 국내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듯 하다.

셰프크래프트 자몽 과일용 디저트스푼, Stainless Steel, 2개입 JUCOXO 자몽 숟가락 세트 4 개 6.1 인치 스테인레스 스틸 반 톱니 모양의 감귤류 과일 빈티지 디저트 숟, 상세 설명 참조0, 상세 설명 참조0윙커 자몽스푼

* 해당 링크를 통해 제품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일정 수수료가 블로거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나저나 왜 한국에서는 자몽이라고 하게 되었을까?

https://twitter.com/SujeJang/status/839357166570115072

그렇다고 합니다.

아 자몽 먹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