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17년 2월월
나의 운동사
미국의 유기농 농장과 독수리
영화사 관계자는 소설이라는 매체가 한국에도 있다는 것을 모르는가
주말에 영화관에 갔다. 컨택트(aka 어라이벌)을 보기 위해서 였다.
예고편에서 사일런스가 나왔다. 컨택트도 사일런스도 모두 유명한 원작 소설이 있고, 이를 토대로 한 영화인데 어찌되었는지 한국에서 개봉할 땐 싹 그 맥락을 지운다.
좀 너무하다 싶을 정도라서 화가 난다.
마틴 스콜세지의 영화 Silence를 '사일런스'라고 쓰기로 한 모양이다. '사일런스'가 '침묵'보다 더 멋 있는 말일까. '신의 침묵' 같은 말은 한국어에서 벌써 철학적 종교적 용어가 된 말인데.
— 황현산 (@septuor1) February 7, 2017
원작 소설도 한국에 '침묵'으로 알려져 있는데 굳이 이럴게 해야할까. https://t.co/K3VvFLgkQx
— Jin (@nyxity) February 8, 2017
엔도슈샤쿠(遠藤周作) 의 ‘침묵(沈?)’을 영어로 번역한 소설을 영화화 한 것인데, 왜 사일런스로 개봉하는가. 한국에서 ‘침묵’이 어디 듣보잡 소설도 아니고 유명한 소설인데.
'파이 이야기'도 스토리 오브 파이로 바꾸고 말이지.
— Jin (@nyxity) February 8, 2017
![]() |
라이프 오브 파이 : 일반판 (1disc) – ![]() 이안 감독, 이르판 칸 외 출연/20세기폭스 |
영화사 관계자는 소설이라는 매체가 한국에도 있다는 걸 모르나? 하긴 콘택트라는 유명한 영화가 기존에 있는지도 모르고 컨택트로 제목을 바꾼 사례도 있을 정도니.
— Jin (@nyxity) February 8, 2017
충격과 공포의 인터뷰 내용.
왜? | <컨택트>는 ‘컨택트’가 됐을까 | 맥스무비 뉴스?
<컨택트> 를 배급한 UPI코리아의 한 관계자는 맥스무비와 전화 인터뷰에서 “<컨택트>의 제목은 내부 시사를 보고 바꾸기로 결정한 것이며, 조디 포스터 주연의 SF<콘택트>(1996)와 비슷하다는 것은 기사를 보고 알았다”고 밝혔다.
영화사에 남을 유명한 장면이 있는 이 영화를 영화사 관계자가 모른다고???
그래서인가 컨택트도 마지막에 제목?Arrival과 함께 원작?Story of Your Life 라고 자막이 나왔음에도 ‘당신 인생의 이야기’ 원작이라는 자막을 생략했다.
Arrival(한국 개봉명 컨택트;;)을 봤다. 대체 이 영화 배급사는 어째서 원작 소설이 번역되어 있다는 것을 함께 홍보하지 않은 거지? 그러는 편이 흥행에도 나았을 것 같은데? 개봉명을 '컨택트'로 한 시점에서 이미 글렀지만서도.
— 정소연 (@sy876) February 12, 2017
유명한 원작을 같이 홍보하는 것이 좋을 텐데 왜 이러는 걸까?
스스로 문화콘텐츠업계가 아니라 수입유통업계로 인식하고 내부적으로도 그렇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겠죠? 붙일 수만 있으면 포스터에 바코드도 붙일 겁니다.
— intherye (@decadence_itr) February 8, 2017
배급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정작 문화적 소양이 없다는 게 너무 느껴지는 현실입니다.
— 힘드린혁 (@oIHLo) February 8, 2017
@oIHLo @nyxity 닌자 거북이도 기어이 닌자 터틀로 바꾸었지요. 그건 그렇고, 정말로 모르고 <arrival>을 <컨택트>라고 수입한건가요?
— 코스하는 여름빛새 (@Surlight88hk) February 8, 2017
토지가 헐리우드에서 영화화 되면 랜드란 제목으로 개봉할듯.
— Jin (@nyxity) February 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