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몰아본 국산차

E300으로 바꿀 때 소카로 잠시 몰아본 차에 이어 몰아봤던 국산차에 대한 감상을 해본다. 아주 잠깐 몰아본 것이라 정말 인상비평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

차량 교체와 카쉐어 이용 잡상

스팅어

울산대학교 특강 때문에 울산에 갔을 때 몰아봤다. 울산역 – 울산대학 왕복.

굉장히 독일차같은 느낌이 나고, 내장도 독일차(C클) 스타일을 많이 따라한 느낌이다. 운전하는 재미도 느끼고. 다만 내장의 기아차 특유의 그 싸구려 느낌은 스탕일리시하게 꾸며도 사라지지 않았다.

K5

사고난 차 입고시키고 대차가 오기 전에 차를 써야하는 상황이라 소카로 빌렸던 차. 특징없는 현기차 특징 그대로. 그랜저보다 심하게 브레이크가 밀리고, 핸들이 가벼웠다.

스피커도 안 좋음.

그랜저 IG

그래도 급이 있는지 K5보다 편함. 그리고 생각보다 실내가 조용해서 놀랐다. 그런데 뭐랄까, 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차내에 울린다. 비유를 하자면 헤드기어를 하고 펀치를 맞아서 충격이 머리 전체에 울리는 것 처럼, 외부소음을 막으려 한 것이 오히려 차내 전체에 울리는 느낌을 준다고나 할까? 조용한데 소음이 실내에 울려서 오히려 불편한 느낌. 피로감을 느낀다.

그리고 스피커는 K5처럼 안 좋음.

현기차 공통

운전석과 조작패널 등이 살짝 싸구려 느낌이 나긴하는데, 굉장히 설계가 잘 된 느낌. 여기 이런 동작을 하는 단추가 있겠지 싶은 곳에 다 단추가 있다. J.D. 파워에서 초기 차량품질에서 일본차보다 한국차가 높게 나왔던 이유가 네비게이션을 포함한 UI 부분도 한 몫을 했다고 하던데, 꽤 수긍하게 된다. 일본에서 렌트로 토요타랑 닛산차를 몰아봤는데, 그 부분의 조작성은 정말 최악이었다. 일본 가전의 조잡한 조작성이 그대로 구현된 느낌.

그리고 네비게이션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되는데, 이게 편하면서도 불편하다. 애플이 맥에 터치스크린을 적용 안 하는 것이 동선상 불편한 인터페이스라서라고 설명하는데, 딱 그 느낌이다.

벤츠는 보통 다른 차량의 기어봉위치에 다이얼이 있어서 화면에 손을 올리지 않고 조작하도록 한 것에 익숙해선지 화면을 터치하려는 것이 꽤 불편했다. 다만, 역시 직관적인 조작은 터치스크린이 맞는 것같고, 목적지 입력같은 자판입력은 터치스크린이 훨신 편하다.

덧붙여 그랜저는 애플카플레이가 되어서 기존 조작환경을 그래도 이어갈 수 있었던 점이 참 좋았다.

애플 카플레이와 순정내비 그리고 도로명주소

결론: 역시 익숙하게 몰던 차가 최고다.

올해 몰아본 국산차”에 대한 1개의 생각

  1. 핑백: 2018년 지름 결과 | monologu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