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컴퓨팅의 재유행과 제프 호킨스

요새 아이패드프로나 서피스 등 펜으로 입력하는 모바일디바이스가 다시 각광을 받는데, 이런 제품의 선구자는 팜이었다. (뉴튼메시지패드는 가격이 너무 비쌌고, 다른 제품은 실용성이 꽝이었다.) 요새 팜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PDA라는 시장을 만들고, 석권했던 제품이다. 요즘의 아이폰이랄까.

개발자는 제프 호킨스. 당시 애플에서 뉴튼 메시지패드를 내놓자 전자회사에서 펜컴퓨터를 따라 출시하려고 했다. 그는 일본 카시오사의 의뢰로 제품을 개발하는데, 이런식으로 만들면 너무 느려져서(파워는 약한데 기능은 다 우겨넣으니. 특히 필기인식) 제대로 쓸 수 있는 제품이 안 된다고 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원안대로 제품이 개발되었다. 물론 나오자마자 너무 느려터져서 쓸수있는 물건이 아니란 평을 받고 망했다.

제프 호킨스는 열받아서, 니네 간섭이 없었으면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었어! 라고 벤쳐케피털에 찾아가 토로, 투자를 받아서 생각했던 제품을 만든다.?그게 바로 파일럿.

그래피티라입력방식이라는 필기인식을 제한하여 속도와 정확도를 올리고, 적은 머신파워로 놀랄만큼 빠르고 실용적인 제품을 만들어냈다. 개발과정에서 지인과 전화를 하면서 메모를 하는 과정을 실제 파이럿으로 해보면서 종이메모와 속도면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실험해보기도 했다고 한다.

Palm Graffiti gestures.png
Palm Graffiti gestures“.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Commons.

(한메한글, 한팁 등에서 한글그래피티앱을 만들어서 한글사용도 가능했었다.)

파이롯사 상표분쟁으로 팜파일럿으로 바꾸고, 제품이 히트쳐서 벤쳐규모로는 감당이 안되어 유에스로보틱스 → 3콤사로 팜컴퓨팅사는 팔려다니는 신세였지만, 제품은 계속 히트쳤다. (이과정에서 3콤은 단물만 쪽쪽 빼먹고 미래를 위한 대비를 안 했다.)

[전설의 명함교환 광고]

경쟁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CE를 탑재했던 PDA들. 훨씬더 하드웨어스펙은 높았지만, 옴니아를 써본 사람은 알겠지만, 윈도우CE는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OS가 아니었기에 팜은 승승장구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팜용 어플리케이션개발자에게 윈도우CE용 어플을 만들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까지 할 정도였다.

하지만, 제프 호킨스는 사실 이런 IT제품을 만들려던 사람은 아니었고, 뇌과학자로, 계속 연구를 하기위해 돈 벌려고 팜컴퓨팅사를 설립, 잠시 개발을 했던 것이다. 그래서 팜은 그의 손을 떠난 후 시대의 조류에 뒤쳐져서 망했다. (3콤 나쁜놈)

제프 호킨스는 그래서 뭐하냐면..

본래 목적대로 행복하게 뇌과학을 공부하면서 살고있음.

 

P.S. 카시오는 고집대로 만들어서 망한 ?Zoomer 이후, 윈도우CE를 탑재한 카시오페아라는 놈을 만들어서 팜과 경쟁하게 되기도 했다.

See also?PilotingPalm : TheLibraryOfBabel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