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 SF, 그리고 대학원

대학교 1학년대 경제학원론에서 비교정태, 비교동태분석에 대한 개념을 배울 때 든 생각: 이거 SF문학의 외삽이잖아.

수리통계에서 stochastic 개념을 배웠을 때: 로또번호 가지고 과거로 간다해도 당첨 안 될 수도 있는거네? 시간여행에 확률과정을 도입한 SF를 생각해볼까…

경제학 배울수록: 이거 심리역사학 아닌가? 크루그먼이 심리역사학 공부하고 싶어서 경제학 선택했다는 말이 이해가 되네.

Jim Lehrer

“When and why did you decide to become an economist in the first place?”

Paul Krugman

“That’s a little embarrassing. I don’t know how many of your viewers read science fiction, but there’s a very old series by Isaac Asimov – the Foundation novels – in which the social scientists who understand the true dynamics save civilization. That’s what I wanted to be; it doesn’t exist, but economics is as close as you can get, so as a teenager I really got into it.”

그래서 성간 무역 이론도 만들고

이렇게 SF적인 상상력을 제공하는 경제학 재밌네? 더 공부해보자 생각하고 대학원 갔다가……………………………..

이것은 SF가 아니다

뿌리깊은 SF에 대한 편견과,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발언하는 이 사태는 언제까지 계속 될까.

90년대 초, EBS 명화극장 예고편에 유지나 평론가가 나와서 영화에 대해 미리 소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중에 알파빌도 있었는데 ‘흔한 SF와 달리’라는 말을 했었다. 아니 알파빌에서 다루는 주제와 소재만큼 진부하고 다룰대로 다뤄 닳아빠진 SF가 어딨나?(훌륭한 작품을 평가절하는 뜻은 아님)

2005년 [TV 책을 말하다]에서도 르귄의 “빼앗긴 자들“에 대해 진행자가 문학적 성취가 대단해서 이걸 SF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다는 투의 말을 하기도 했다. 세상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

 

관련하여 듀나의 리뷰 😕새 영화리뷰 – 그녀 Her (2013)?

[그녀]는 깊이 있고 울림이 큰 로맨스 영화입니다. 여기엔 스파이크 존스의 역할도 크지만 호아킨 피닉스와 스칼렛 조핸슨의 연기력도 한 몫을 하죠. 하지만 영화의 진짜 장점은 이 로맨스를 철저한 SF적인 세계관과 상상력을 통해 전개한다는 것입니다. 그냥 SF의 소재를 빌려 현대인의 고민을 상징화한 로맨스가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수도 있는 세계를 지금의 지식과 상상력을 통해 성실하게 정교하게 쌓아올리는 본격 SF인 것이죠. 사람들이 이 장르에서 기대하는 특수효과 같은 건 거의 없지만 최근에 나온 SF 영화 중 [그녀]처럼 이 장르에 진지하게 접근한 작품은 거의 없습니다

일단 제대로 SF에 대해 알아보고(읽어보고) 말을 했으면 좋겠다.

2014.07.20(Sunday) 추가.


See also

SF라는 외피를 걷어내면..

SF 독자의 단추를 누르는 말이 타임라인에 돌았다.

그래서 옛 생각이 나서 답 멘션.

근데 다시 봐도 가슴이 벌렁 거리네.

 

 

답답함에 대해 듀나가 쓴 글이 생각나서 소개를 했다. ?메트릭스가 유행일 때 평론가의 너무나 허접스런 철학적 운운에 질린 팬덤을 대편했던 글.

 

 

 

 

 

 

 

 

 

트위터 기록 7월 28일

  • 09:07 9호선 사람 너무 많다.
  • 10:00 http://bit.ly/M9n3H 토지 수용권을 없애라.
  • 11:02 안경을 닦았다. 세상이 달라보인다.
  • 11:15 @ozpuregreen 모니터 지금 닦고있습니다.
  • 13:41 트위터의 좋은 점은 한국사람이 별로 없다는 점인데, 점점 그 이점이 사라지고 있다. 김연아 탓인가.
  • 16:53 이번 휴가에 라식을 받은 남자직원이 3명. 제작년에 여직원들이 우루루 받더니만… 아, 나도 받을까.. 복싱하기 때문에 라섹으로 해야할 듯 한데.
  • 17:12 뛰어난 SF를 보고 ‘이렇게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은 사실 꼭 SF라고 하기 그렇다’는 평을 들으면 울컥할 때가 있었지만 요새 그런 사람보면. 피식.. ‘참 좁은 세상에서 사셨네..’ 라는 반응이 나온다.
  • 17:22 @philia75 아니, 그냥 테드창 관련 후기들을 보다 보니..
  • 17:24 남성의류 쇼핑몰 괜찮은 곳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30대에 어울리는..
  • 18:06 스타벅스 인스턴트 커피 관련 http://bit.ly/13IMpY
  • 21:44 더치커피 추출기 추출후 방치했더니 필터 부분에 곰팡이가 ㅜㅠ

Powered by twtr2src.

twitter log 20090720

  • 00:11 유명한 얘기. 덕분에 인터넷 쓸수있었던 적이 많아서.. RT: @onesound: http://bit.ly/1ZBQip LG070 AP 기본 암호가 123456789a 라는 글
  • 00:11 하루이틀 일이 아니라서 그려러니 RT: @captJayway: 테드 창 초청 피판 행사들을 다녀 온 소감: 나는 SF 오덕이 맞나보다. SF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읽지 않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재정의한 SF를 놓고 뻘소리 하니까 엄청 짜증나더라.
  • 00:15 질의응답시간 병신일정량의 법칙.
  • 13:38 스타벅스 인스턴트 커피. 맛을 둘째치고 한국의 커피믹스의 편리한 포장을 생각하면 너무 불편하다. 한봉지에 3잔분량. 나눠서 써야한다. 한국에선 안팔릴듯.
  • 14:42 @ledzpl 사실 SF장르에 대해 무지해서 나오는 어이없는 질문은 뭐 나도 다른 분야에 무지하기 때문에 그려려니 넘어갈 수 있었는데, 예의없는 질문에 대해서는 조금 화가 나긴 하더군요.
  • 17:23 맥용 Skyvoyager 가 0.1달러! 99달러짜리 소프트가 아폴로 달착륙기념으로 한시 할인판매.. 아이폰/터치용 어플은 무료!. 우왕 http://www.carinasoft.com/order/store01.html
  • 21:53 5개월만에 체육관 나갔다. 스파링은 안했지만, 남이 하는 것을 보니 피가 끓는구나. 근데 줄넘기 1라운드만했는데 체력이 고갈. 쉬지안고 6라운드씩 어떻게 했지?

Powered by twtr2src.

그려러니

커피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커피’를 놓고 꽤 많은 사람들과 생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겪어왔다. 커피라고 하면 자판기 커피나 커피믹스 등의 인스턴트커피를 떠올리는 사람들을 비롯하여 스타벅스커피를 즐기는 사람, 나름 커피 마니아라고 자부하며 비싼 커피머신과 일리커피를 수입해서 그것을 즐기는 사람, 제대로된 커피가 어떤 것인지 잘 모르면서 커피에 대해 나름 지식을 자랑하는 사람까지.

초창기엔 발끈발끈해서 제대로된 커피가 어떤 것인지 알리려 노력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냥 그려려니 하고 지나가게 된다. 내가 커피로 밥먹고 사는 것도 아니고..

주말동안 부천에서 테드창의 강연과 워크샵에 참여했다. 테드창은 이미지 그대로, 아니 어쩌면 그 이상으로 멋진 사람이라는 느낌이었다. 그보다는 역시 강연회와 워크샵에 모인 SF팬덤외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던 SF라는 것에 대한 인식의 갭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낀 것이 더 컸다.

첫날은 일반인이 대상이기도 해서 ‘질의응답시 병신일정량의 법칙’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오늘 있었던 워크샵은 나름 SF영화를 찍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모인 자리였음에도 그런 인식의 차이를 크게 느낄 줄은 몰랐다. 이에 대해 또 발끈발끈 하고픈 마음도 들었지만, 역시나 그냥 그려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듯. 역시 SF로 밥벌고 있는 것도 아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