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마지막으로 [b]

[5·18항쟁 ① : 전염병처럼 번진 왜곡의 실체 '극우인사-일베'의 분업 : SBS 뉴스]새 창으로 열기
하지만, ‘화려한 사기극의 실체 5·18’의 증언자로 등장한 탈북자 중에 실제로 1980년 5월, 북한 특수군으로 광주에 투입된 사람은 없다. 김희송 전남대 교수의 "5·18 역사 왜곡에 대한 고찰"이라는 논문에 따르면, 탈북자들의 증언은 친구나 직장 동료 등에게 들었던 소문이거나 심지어 ‘군당비서에게 들었다는 아버지의 전언’ 등 전언의 전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북한이라는 특수성, 일반인이 경험할 수 없는 북한을 실제로 경험한 탈북자의 이야기라는 접근의 제한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전언’은 사실로 포장돼 필요에 따라 소비됐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5·18은 폭동"이라거나 "5·18에 북한군이 개입됐다"는 식의 주장은 보수 정권이 촛불 집회 등과 같이 위기에 처했을 때, 그리고 5·18 항쟁의 제도화가 진전되는 이벤트가 있을 때, 그리고 종편 출범 이후에 증가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5·18 왜곡 담론이 지만원과 김대령이라는 인물에 의해 생산됐다면, 유통은 극우성향 사이트인 일간베스트 저장소, 소위 ‘일베’를 통해 이뤄졌다. 광주 사람을 ‘홍어’라고 비하하거나 5·18 항쟁 당시 사망자가 관 속에 들어가 있는 사진을 두고 ‘시체놀이’ 등으로 비하해 물의를 일으켰던 ‘일베’다. 일베에서 ‘5·18 북한군 개입’ 게시글이 2012년 11월 30일 처음 등장한 이래, 2016년 5월 13일까지 809건이 게시됐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전체 웹문서 게시글의 88.6%를 차지하는 것으로서 ‘북한군 개입설’이 일베를 통해 대부분 유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베 내에서 5·18을 폭동이라고 규정하는 내용의 게시글도 2012년 5월 처음 등장한 이래 5월 13일 현재까지 1,832건이 게시 됐는데, 이는 해당 기간 전체 웹문서의 18.8%를 차지하는 수치다.

지금까지 분석 결과는 5·18 항쟁이 현안이 될 때마다 5·18 왜곡도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18 항쟁 왜곡에 대해 정부의 대응은 어떠할까. 나치의 선전 장관 괴벨스는 "거짓말은 처음에 부정되고, 그 다음 의심 받지만, 되풀이하면 모든 사람이 믿게 된다"고 했다. 어쩌면 이것이 5·18 왜곡 담론을 생산하고 유포하는 사람들이 노리는 것일지도 모른다.

[5.18항쟁② "北 특수군" 거론 인물 안면분석 해보니…교활한 왜곡 : SBS 뉴스]새 창으로 열기

‘5.18(1980)’은 민주화 운동이다. 진실 발견에 시차가 컸지만, 8년 뒤 열린 광주 청문회, 5.18특별법(1995), 이듬해까지 이뤄진 검찰 수사와 5.18 국가기념일 제정(1997),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진상규명(2007),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2011)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시민운동으로 거듭 확인됐다.
중앙정보부는 이런 첩보로 전 씨 등 신군부의 정치개입 정당성을 확보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대를 강경 진압하는 명분을 확보하려 했다. 하지만, 첩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육군본부는 당시에 이미 ‘신빙성 없음’이라고 결론 내렸다. 당시 육군본부 정보참모부가 1980년 5월 10일 작성한 <북괴 전면 남침설 분석>을 보면 이런 내용을 알 수 있다. "김일성이 타국(유고) 방문 중 침략 모의 가능성 희박, 남침 예정이라면 각료는 대동치 않음, 북한군 병력 집결 징후 없음. 전쟁 징후 없고, 남침설 신빙도(신뢰도) 희박"이라고 적혀 있다. 당시 군(軍) 스스로 거짓 정보라고 인정한 것이다. 심지어 당시 계엄사령부 참모 회의록에선 “북괴(북한)가 남침을 준비한다는 일본 첩보는 벌써 6번이나 거짓말”이란 취지의 당시 황영시 육군참모차장 겸 계엄사 부사령관 발언을 확인할 수 있다.
를 위해선 5.18 민주항쟁을 지속적으로 기억해야 한다. 왜곡이 일어나게 된 이유도 분명히 밝혀내야한다. 영원히 기억하지 않으면 역사의 정의는 바로 세울 수 없다. 역사의 진실은 끊임없는 기록과 교육, 즉 망각과의 투쟁을 통해서만 지속될 수 있다.

역사분류
트랙백 주고받기

마지막 편집일: 2016-5-18 2:34 am (변경사항 [d])
2176 hits | 변경내역 보기 [h] | 이 페이지를 수정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