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ldYourLanguageAffectYourAbilityToSaveMoney

마지막으로 [b]

1. 저축률과 언어의 시제
2. TED 강연
3. NPR 인터뷰

[edit]1. 저축률과 언어의 시제

중국은 저축률이 무척 높고, 미국은 저축률이 무척 낮다. 이게 경제적인 상황에 기인한 것이냐 아니면 다른 요인이 있느냐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 Jin (@nyxity) March 9, 2016

이와 관련, Keith Chen이라는 사람이 재밌는 사실을 발견했다. 중국어는 시제 개념이 없고, 영어에는 과거, 과거완료, 현재, 현재진행, 미래, 미래 완료 등 명확한 시제 개념이 있는 것이다.

— Jin (@nyxity) March 9, 2016

그래서 그는 교육수준, 직업 등등 비슷하게 통제해서 시제가 명확한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와 시제가 명확하지 않은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 사이에 저축률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 Jin (@nyxity) March 9, 2016

놀랍게도, 시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언어를 사용하는 층이 약 30%가까이 더 많이 저축을 하고 있다는 것을 그는 밝혀낸다. 미래를 별개의 다른 존재로 구분해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나온 결과가 아닐까 추측.

— Jin (@nyxity) March 9, 2016

경제학적으로 말하면 시간할인인자가 시제가 없을 경우 작고, 시제가 명확할 경우 크다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 Jin (@nyxity) March 9, 2016

좀더 이 개념을 확장하면, 현재와 미래는 다른 별개의 존재이기 때문에 따로 생각해서 저축을 안 하게 된다는 뜻인데, 이거 '동류의식 결여'와 비슷한 사고 방식이다.

— Jin (@nyxity) March 9, 2016

Criminal history of mankind 라는 책에서 인류의 대량학살의 기저에는 저들과 우리는 다르다는 생각이 있어서라고 분석했다. 여성혐오도 마찬가지. 여성은 같은 인간이라고 보지 않기에 생기는 문제이다.

— Jin (@nyxity) March 9, 2016

[edit]2. TED 강연

[Keith Chen: Could your language affect your ability to save money? | TED Talk | TED.com]새 창으로 열기

[Keith Chen: Could your language affect your ability to save money? | TED Talk Subtitles and Transcript | TED.com]새 창으로 열기 - 스크립트

If that's true and it makes the future feel like something more distant and mo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at's going to make it harder to save. If, on the other hand, you speak a futureless language, the present and the future, you speak about them identically. If that subtly nudges you to feel about them identically, that's going to make it easier to save.

[edit]3. NPR 인터뷰

[The Money Paradox : TED Radio Hour : NPR]새 창으로 열기


새 글 쓰기(클릭) - 링크는 [http://nyxity.com/wiki/wiki.pl 바벨의 도서관] 형식입니다.

경제분류
트랙백 주고받기

마지막 편집일: 2016-3-10 2:48 pm (변경사항 [d])
2067 hits | 변경내역 보기 [h] | 이 페이지를 수정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