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랜덤은 랜덤하지 않다.

어렸을 적 컴퓨터 잡지에서 베이직으로 점궤를 내는 것을 짜는 설명을 본 적이 있다.

컴퓨터가 생성하는 난수는 사실 난수가 아니라 일정한 값을 반복하고 있어서 랜덤워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저것 꼼수를 써야 그나마 랜덤워크에 가까운 모습을 그릴 수 있다고 한다.

이적이 꽤 신기해서 기억에 오래오래 남아있었다.

그때 봤던 컴퓨터 잡지는 이거 Popcom

이게 8비트 시절의 한계인가 했지만, 결론적으로 좀 더 복합해졌지만 컴퓨터는 진정한 의미의 랜덤을 만들어낼 수 없다고 한다.

컴퓨터가 만드는 랜덤은 정말로 랜덤할까?

사실 우리가 일상에서 어느 정도 우연성이 있다면 랜덤하다고 하듯이 컴퓨터도 진정한 의미의 랜덤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납득할만한 우연성을 만들어 내고 이를 랜덤하다고 한다. 게다가 컴퓨터로 뭔가를 만드려면 어떠한 규칙을 만들어줘야 하는데, 어떠한 규칙으로 규칙이 없는 랜덤을 생성한다는 말 자체가 모순이다.

흠. 그렇다고 한다. 다만 컴퓨팅 파워가 강해져서 예측하기 힘들게 복잡해졌을 뿐 기본적인 한계는 그대로이다.

사실 이 한계점을 파고든 사람이 있었다.

몇 년 전 라스베가스에서 한 러시아인이 슬롯머신을 통해 돈을 싹쓸이 해가는 일이 생겼다.

요주의 인물이 된 이 사람을 관찰하는데 감시카메라로 주의 깊게 살펴봐도, 적은 돈으로 게임하다 어느 순간 큰 돈을 걸어서 크게 따는 패턴을 보인다는 점 외에는 뭔가 속임수를 쓰거나 해킹했다는 점을 찾아내지 못했다.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는데, 이 사람이 하는 슬롯머신은 오래된 Aristocrat Mark VI라는 머신이었다. 그래서 더욱더 해킹은 불가능해 보였다. 이 머신은 인터넷이나 블루투스 등이 없어 외부와 전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이 친구가 슬롯머신을 돌릴 때마다 스마트폰을 조작한다는 점이 걸렸다.

결찰이 이 친구를 잡았는데, 혐의점이 없어서 결국 풀어줬지만, 이 스마트폰을 분석할 수 있었다. 여기에 어떤 앱이 깔려 있었고 이 앱은 러시아의 상페테르부르크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파악했다.

결론은 Aristocrat Mark VI이 그곳에 리버스엔지니어용으로 있었고, 이쪽에서 슬롯머신의 결과를 보내면 컴퓨터가 생성한 가짜 랜덤의 패턴을 찾아서 그 다음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파악한 것이다.

요새 머신은 더 복잡해서 이런 식으로 패턴을 찾아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 옛날것은 컴퓨팅 파워가 약해서 패턴을 쉽게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로 Aristocrat Mark VI 는 여전히 쓰는 곳이 꽤 있다고 한다.)

편하게 돈 벌려는 인간의 욕심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스팍의 임무 실패 (실외기 비둘기 대책)

실외기에 비둘기똥이 한 가득…

결국 그래서..

사진 비교를 자세히 해보면 실외기에 비둘기똥이 가득했던 것을 닦아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용한 제품은 이거.

버드 스파이크 비둘기 퇴치기 + 대형 케이블 타이 20p, 2세트 보쉬 무선 글루펜 + 7mm 글루스틱 4p + 충전기, 1세트

* 해당 링크를 통해 제품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일정 수수료가 블로거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글루건은 다행히 가지고 있던 것이 있어서, 실외기 위에 설치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이렇게 안심하고 있었는데, 다시 비둘기가 오는 소리가 와서 봤더니 실외기에 연결된 호스에 앉는 것이다. 그래서 그쪽에도 달았다.

일단은 이걸로 해결했는데, 실외기 설치공간에 이 실외기가 안 들어가서 그 위에다 프레임을 만들어 설치한 것이라 아랫 공간에서 계속 비둘기 소리가 들린다. 뭐 실외기 쪽에는 피해가 없으니까 일단은 만족.

효율적 기대가설과 가치 투자

주식은 전형적인 효율적 기대가설이 작동하는 시장이다. 주식가격은 모든 정보가 이미 반영된 상태이다. 따라서 주식은 랜덤워크의 모습을 보이며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See also 효율적 시장가설

사실, 이것은 대략적으로 그렇다는 것이고, 정보가 가격에 반영되는데 시차가 존재하며, 그 사이 재정거래를 통해 시장수익률 이상의 이익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시장수익율 이상의 수익을 얻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인덱스펀드 vs 액티브펀드 대결에서 인덱스펀드가 계속 이겨왔다.)

see also 인덱스 펀드 vs 액티브 펀드

최근 국내에서는 이른바, 동학 개미 운동 등,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를 생각하며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금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1. 당신은 워렌 버핏이 아니다.
  2. 효율적 시장가설에 따르면 가치투자는 불가능하다.

가치투자는 저평가된 주식을 사서 수익을 얻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보자.

A라는 주식이 현재 10원이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자세히 분석해 보니 이 회사의 가치는 100원이 적절한 가격인 것 같다. 지금 사면 10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만 이 정보를 알면 A는 계속해서 10원에 머물러 있고 100원이 될 수 없다. 남들도 같은 평가를 해야 한다. 그렇다고 남들도 같은 평가를 하기 시작해서 가격이 올라도 또 문제가 생긴다.

100원이 적절한 가격이기 때문에 그 가격까지 이르면 거래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 전에 팔아야 한다. 그럼 얼마에 팔아야 할까? 99원? 남들도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그 전에 팔아야 거래가 이뤄질 것이다. 그러면 98원? 역시 같은 가정이 적용되기 때문에 그 전에 팔아야… 이렇게 반복되다 보면 결국 현재 가격까지 내려오게 된다.

물론 이것은 극단적인 가정이기에 현실은 10과 100사이에서 가격이 형성될 것이다.

자신이 분석한 기업가치 맞는다는 것을 실증할 때면 이미 그 주식은 그 가격을 반영해서 비싸져있을 것이고, 그 전에 사야 하는데, 그것은 일종의 베팅이 되어버린다. 또한 사는 시점 뿐 아니라 파는 시점도 역시 베팅이 되어버릴 수 밖에 없다.

결국 장기적으로 시장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얻기는 정말 힘들다.

그래서 결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