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코스트 에버리징 투자법

경제학적으로 올바른 투자법은 바로 인덱스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포스팅을 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인덱스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면 꼭 나오는 반론이 있다. 인덱스 투자는 미국처럼 계속 우상향하는 시장에서는 맞는 투자법이지만 한국처럼 주가가 박스권에 갇혀있는 경우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10년가까이 코스피는 박스권에 갇혀 있다.

지적대로 주가가 100원이었다가 50원으로 하락한 후 다시 100원으로 돌아온다면 수익도 손해도 없이 그냥 시간만 낭비한 투자가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답이 있다. 달러 코스트 에버리징 투자법, 즉, 일정한 기간에 일정한 금액을 적립식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다.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사게 되고, 주가가 오르면 적은 주식을 사게 되어 평균단가가 떨어져서 결국 수익을 보게 된다.

이거 흔히 주식이 하락하면 매수를 늘려 평균단가를 떨어뜨리는 ‘물타기’ 투자법과 비슷하다. 하지만 주식의 경우 이렇게 ‘물타기’를 한 기업의 주가가 언제 회복할지, 과연 회복은 할지 불확실한데(그러다 상폐 당하거나 영영 회복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 투자 대상이 인덱스라면 그런 일은 걱정은 안 해도 된다.

만약 인덱스가 종이조각이 된다면 한국 경제 자체가 망했다는 소리니까.

오히려 주가가 폭락했을 때가 오히려 인데스 투자의 최대 투자 기회가 된다.

하지만 투자 타이밍을 잡는다는 것은 꽤 어렵기 때문에 그냥 속 편하게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기간에 적립식으로 장기 투자하고 자신의 본업에 충실한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여기저기 혹하는 루머에 흔들리며 투자했다가 돈을 잃기보다, 재미는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위험을 회피하고 확실한 수익을 가져다주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자신감의 근거

며칠 전에 자신감과 모티베이션에 대한 흥미로운 포스팅을 발견했다.

계속과 자신감, 결과에 의지하지 않는모티베이션이란

요지는 과거의 성공사례는 자신감의 근거가 될 수 없고 얼마나 지속적으로 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거 자신이 잘 썼던 글을 자신감의 근거로 삼을 경우, 오히려 새 글을 쓸 때 ‘잘 써야지’하는 마음 때문에 글이 잘 안 써져서 모티베이션이 떨어지고 자신감도 잃게 된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일주일에 한 편씩 칼럼을 일년동안 써왔다는 사실이 자신의 글쓰기에게 큰 자신감과 계속하게 만드는 모티베이션이 된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을 보자 그동안 블로그와 바벨위키에 글을 너무 안 썼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원인은 물론 ‘잘 써야지’라는 마음 때문이 아니라 바쁜 일과 귀찮음이 겹쳐서이지만 말이다.그래도 일단 지속적인 포스팅과 바벨위키 페이지의 업데이트를 통해서 자신감과 모티베이션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회사일에서도 과거 성공적인 사례가 아닌, 지속적인 일로 자신감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때 Pomodoro Technque라는 시간관리 기법을 알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5분 타이머를 세팅하고, 그 시간동안 한 가지일에만 집중하는 것이다. 이 집중한 25분을 1 뽀모도르라고 한다. 집중해야 하는 일이 있음에도 웹질이나 트윗질로 빠져서 일의 진도가 안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하루에 뽀모도로를 최대한 많이 행하는 것을 지속함으로서 나의 자신감의 근거와 일에 대한 모티베이션으로 삼으려고 하는 것이다.

마참 아이폰용 어플도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어플은 뽀모도로 기간동안 째깍째깍 소리를 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소리가 신경이 거슬릴 수도 있지만 나의 경우 그 소리
덕분에 딴 짓을 안하게 된다.

참고로 왜 뽀모도로가 되었냐 하는 것은 창시자가 사용했던 키친 타이머가 토마토 모양이라서이다.

며칠 실행해봤는데, 꽤 유용한 것 같다.

이제 남은 것은 지속적인 포스팅과 바벨위키 페이지의 업데이트인데…

See also http://www.pomodorotechnique.com/

파티션에 옷걸이 만들기

회사 옷걸이가 팀장석 뒤에 있어서 조금 불편했다. 먼저 퇴근한다거나 할 때 민망해지기 쉽고 한국 직업문화 풍토상 왠지 눈치가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파티션과 클립을 활용한 옷걸이를 만들었다. 이후 여기다 자켓이나 코트를 걸고 있어서 눈치 볼 일이 없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파티션 위엔 고양이 인형들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xter

한글이 깨지는 문제로 Texter대신에 PhraseExpress를 사용했었으나 Texter한글문제 해결법이 나와서 Texter로 갈아탔다.

PhraseExpress가 좀 버벅거리고 변환이 안되는 경우도 있는 등, 불편한 부분이 있었고 비즈니스 유저이기 때문에 등록하라는 메시지가 종종 떠서 짜증이 났는데? Texter로 갈아타니 훨씬 더 빠르고 반응성도 높아서 대 만족중.

사실 Texter는 AutoHotkey를 이용해 만들어진 어플이기 때문에 AutoHotkey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것같기도 하지만, 여러 설정 방법 등 새로 익히기 귀찮아서 그냥 Texter를 쓰기로 했다. 제작자가 맥의 TextExpander를 윈도우에서도 쓰고싶어서 만들었다고 하니 사용방식이나 느낌도 비슷해서 대 만족중.

한글 문제를 위해서는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Compatibility mode (default) 로 되어있는 것을
Clipboard mode (Faster,but less compatible)로 변환

아울러 Texter 활성화를 하면 한영전환이 안되는 문제도 있었는데 한글IME에서 Micosoft IME2007외에 한국어를 추가로 선택하면 이것도 해결된다.

참고 링크

See also

텍스트치환 프로그램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는 단순작업의 반복, 계산능력이다. 애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등은 아직도 요원한 분야이다. 컴퓨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하는 일 중 컴퓨터가 잘하는 일은 가능한 컴퓨터에 맡기고 그렇지 않은 일에 집중해서 생산성을 올리는 것이다.

그중 굉장히 유용하지만 사람들이 잘 안쓰는 것이 자주 쓰는 말을 상용구로 등록해서 그 상용구를 입력하면 치환해주는 기능이다. 맥에서는 TextExpadne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강력하게 구현하고 있다. 이번 스노레퍼드에서는 제한적으로 이 기능이 OS에 들어가있기도 하다.

이런 텍스트치환기능은 예를들어 이메일을 작성할때 tq라고 입력하면

감사합니다.

이동진 드림.
이라고 치환이 되어 타이핑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다.
 

굉장히 긴 문장도 몇단어로 바로 입력할 수 있고 애플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거나 텍스트 뿐 아니라 그림파일등도 불러올 수 있어서 홈페이지에서 태그를 입력하거나 할때도 굉장히 유용하다.

 

특히 바벨의 도서관에서 위키문법 입력시 굉장히 편하다

 

/bq 라 입력하면

<blockqueote>

 

</blockqueote>

가 입력되고 그 태그사이에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MobileMe나 DropBox ,아이폰/터치를 이용해서 여러 컴퓨터와 싱크도 가능하다. 컴퓨터가 잘하는 부분에 특화되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굉장히 높이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한다.

 

직장에서는 윈도우를 쓰기 때문에 윈도우용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가 찾았는데 AutoHokey같은 것이 오픈소스로 제공된다고 하는데 사용법이 너무 복잡해 보여서 포기. Lifehack에서 Texter라는 프로그램도 있었는데 한글이 깨져나와서 포기. 그러다 PhraseExpress를 발견했다. 개인 사용자에게는 무료이다.

 

컴퓨터 설치시 재부팅하면 이상하게 작동이 안되지만 USB버전으로 DropBox에다 깔고 실행시키면 문제없이 작동하는 듯 하다. TextExpadner 만큼 쾌적하게 작동하진 않지만 그럭저럭 쓸만하다.

뉴욕타임즈에서 많은 칼럼을 쓰는 David Pogue는 다양한 IT관련 칼럼을 쓴느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툴 중 하나로 TextExpander를 들고 있다.

Pogue’s Productivity Secrets Revealed
Typing-Expansion Software – Pogue’s Posts Blog – NYTimes.com

자주쓰는 문장의 타이핑 시간을 절약하여 그 시간동안 더 고민을 하자.

See also
텍스트치환프로그램

  • 추가 : PhraseExpress USB버전 깔았더니 한글치환이 안된다. 그리고 재실행하면 또 무한 파일로딩.. 젠장 윈도우용은 포기해야하는가..
  • 추가4 : 남은 문제는 TextExpander 와 PhraseExpress 의 설정 호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