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한 칸에는 당신의 생각, 그 옆 칸에는 하나님의 생각?

사실, 이 트윗을 보고 떠올렸던 것은 영화 아마데우스였다.

영화 초반 살리에리는 기도하고 악상이 떠오르면 신에게 감사해 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사실 이런식의 행동은 현재 한국의 많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에게도 보이는 현상이기도 하다. 하나님과 동행하는 생활, 성령 충만한 삶이라고 하면서.

하지만 이런 심리상태는 그냥 간단히 말해서 영유아기의 ‘상상속의 친구’와 별반 다르지 않다. 사실, 많은 종교적인 체험은 이것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상속의 친구’는 어렸을 적의 해프닝으로 끝나는 경우 뿐 아니라 어떤 이의 삶을 바꾸기도 한다.

Megan Lincoln이라는 사람은 난독증이 있어서 학교 수업에서 낭독시간이 있을 때 마다 화장실로 도망을 갔었다. 선생이 이 사실을 알고 그녀에게 난독증은 처칠, 탐 크루즈, 셰어 등과 같은 사람도 앓고 있는 병으로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라고 말해준다.

그날 이후, 그녀는 셰어가 자신에게 말을 걸어오는 일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날 어느 때처럼 화장실로 도망갔던 그녀에게 셰어가 자신 감을 가지고 교실로 돌아가도록 말을 걸어왔고, 그 덕분에 용기를 내어서 다시 교실로 돌아갔던 경험을 한다.

자신이 어떻게 난독증을 극복해냈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그녀는 대답하기가 그래서 곤란했었다고 한다.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셰어가 자신에게 말을 걸어오면서 극복할 수 있었다고는 공개적으로 말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LINCOLN: I remember her telling me that it was smelly in the bathroom. Why are you sitting in a smelly bathroom? She’s like, you’re better than this. Go back and take that test. Confront the test. It’ll be much better than sitting here in this smelly bathroom. And I would take my deep breath, and I would walk out, and I would smile, you know, and I’d probably curse her out a little bit, and I’d go back into that classroom and take that test. I never felt dumb after that.

Secret Friends: Tapping Into The Power Of Imagination

인류학자인 Tanya Luhrmann은 마법을 쓴다는 그룹을 인류학적인 접근법으로 회의적인 편견을 가지지 않고 긍정하면서 관찰을 하며 그 모임에 참가하면서 구체적인 이야기와 이미지를 통해 ‘상상의 존재’ 를 보다 현실적인 존재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한다.

자신의 일상적인 삶에서 일어나는 일에서 단체에서 말하는 ‘그 이면의 존재’를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LUHRMANN: And what this man did during the weekend was to, in effect, tell story after story about these pictures in a way that he wanted us to experience these pictures as if we were living in a dream, as if we were going down a river or on a boat together. And we would get out of the boat. And we would look up, and we would see a temple. And there was the priestess. And this is what the priestess looked like. And he wanted us to experience those stories as if they were happening.

LUHRMANN: And my dreams were becoming vivid and dripping with symbolism. I remember having this dream at one point in which what I knew was my soul was swimming across a river in a thunderstorm to scramble up the other side on this bank of mud. And I kept falling back, and then I’d go forward. And I remember waking up and thinking, oh, my goodness. I’m having different kinds of dreams. And that was a dream about my soul.

Secret Friends: Tapping Into The Power Of Imagination

그녀는 이때의 경험을 살려 복음주의 교회에서도 비슷한 방식이 작동함을 알게 된다.

LUHRMANN: They’re using very similar kinds of what I would call spiritual practices. They were inviting people to use external symbols, props, and internal images, stories, in order to allow the person to enter a world which is not the world of the day-to-day and to come to experience that world as if it is present, as if it’s real.

Secret Friends: Tapping Into The Power Of Imagination

그래서 그녀는 실험을 해본다. 신앙을 가진 사람을 무작위로 뽑아 한 그룹에게는 기도를 할 때 시편의 ‘푸른 초장으로 인도하는 목자’ 처럼 구체적인 상호작용이 있는 것 처럼 상상하도록 한 것이다.

그랬더니 신이 자신의 곁에 있다고 생생하게 느꼈고 목소리를 듣기까지 한 사람이 나왔다. 마치 Megan Lincoln이 셰어의 목소리를 들었던 것 처럼.

LUHRMANN: So I found that people in the prayer group were more likely to say that their mental images were vivid. They were more likely to say that God felt more like a person to them,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gotten angry at God or become playful with God.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say they’d had a moment, when they had heard God speak in a way they could hear with their ears, or they had seen something that wasn’t materially real in the world, or they’d had some vivid sense of God’s presence.

Secret Friends: Tapping Into The Power Of Imagination

그래서 대부분 교회에서 말하는 ‘하나님과 동행하는 성령충만한 삶”이라는 것은 영유아기의 “상상속의 친구”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하는 것이다.

사실 이런 인간의 성격을 이용하여 어떤 마술사는 청중에게 종교적인 체험을 경험하게 하는 것도 성공했다.

그렇기 때문에 신앙을 얘기할 때 생생한 경험보다 성경을 토대로 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도 바로 함정이 있다. 성경을 자신의 욕망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유혹에 인간은 너무나 쉽게 빠지기 때문이다.

나는 또한 얄궂게도 성경의 무오함을 주장하면 할수록, 오류에 빠지기 쉬운 우리 자신의 욕망을 최고의 권위로 삼을 위험이 커진다고 믿는다. 언어는 복잡한 인간의 재능이다. 우리가 듣고 싶어하는 것을 듣는 일은 너무나 쉽다. 그래서 우리가 믿고 싶어하는 것을 성경이 이야기 할 때, 가장 진지하게 성경을 취하려는 유혹이 있다. 만일 성경이 무오하다면 그것이 우리의 욕망도 무오하게 만들까?

현대 과학과 기독교의 논쟁

그래서 성경전체를 통해 확립한 ‘교리’가 있는 것인데, 한국 교회에서는 이 ‘교리’를 통해서 성경을 보는 방법을 가르치는 곳이 없고, 교리 자체를 알려주지도 않는다. 오히려 목사가 교리를 무시하고 성경을 자신의 욕망을 정당화 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는 지경이다.

그래서 계속 이런 ‘상상속의 친구’ 수준의 ‘신앙’이 재생산되고..

P.S. 사실, 노트 한쪽 면에는 이런 생각, 다른 면에는 저런 생각을 적는 방법을 처음 접한 것은 오타킹으로 유명한 오카다 도시오의 Smart Note 였다.

See also 스마트 노트술

11월 결산과 12월 하고 싶은 일

11월 결산


11월 목표 – 스마트노트 재개

7월 목표 – 스마트노트 재개

일단은 시작하는데 성공했고, 저녁 스트레칭 → 양치 → 스마트노트의 흐름으로 습관화를 하고 있다. 역시 현재 어떤 상상을 하게 되었는지, 왜 그런 망상을 하는지, 해결책으로 실천해야할 것들은 무엇인지가 명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걸어서 우주까지

걸어서 우주까지

마테호른 까지 왔다.

근데, 곧 이 앱 종료한다고.. ㅠㅠㅠㅠ

읽은 책

영어공부

  • 단어는 1,414/3,151 완벽하게 외운 것 24개 증가. 새 단어 4개 증가
  • 순간영작문 1,814/2,063 완벽하게 외운 문장 21개 감소(!)

재정상황

투자만으로 현금흐름을 만들어내는 것은 역시 어렵다. 뭔가 현금흐름 소스를 더 늘려야 할 듯. 자산이 총 0.55% 감소에 그친 것은 저번 달에 비해 주가가 반등한 덕분.

  • 현금성 자산: 4.84% (펀드 환매로 인한 현금성 자산 증가)
  • 투자성 자산: -6.25% (펀드 환매로 감소)
  • 연금 및 보험성 자산: 0.54%
  • 총: -0.55%

12월 목표 – 애플워치 활동목표를 다 채우기!

복싱과 PT 모두 할 때는 활동목표를 다 채워서 한 때 1일 활동목표가 640Cal까지 올라갔는데, 복싱을 쉬고 있는 현재 목표가 440으로 내려왔고, 못채우는 날도 종종 있다. 그래서 이번달엔 일단 다 채우고 서서히 다시 목표를 올려갈 생각이다.

여전히 수면은 과제. 스팍이 새벽에 난리치는 것도 문제지만, 일찍 잠자리에 들지 못하는 것도 여전하다.

6월에 하고 싶은 일 또는 목표

고양이 장난감과 수면

 

7월 목표 – 스마트노트 재개

생각하는 것은 상당히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이 생각해 놓은 것을 가짐으로써 대신하려는 경향이 있고(“생각을 갖고 있다”), 평소 생활에서 스스로 생각하는 경우는 잘 없다.

스마트노트술을 봤을 때, 스스로 생각하는 습관과 그 결과물이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 감명깊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꽤 오래 실천하기도 했고.

스마트노트술 : TheLibraryOfBabel

일주일간 매일 스마트노트를 실천해본 결과

 

하지만 역시 생각은 귀찮은 일이라 어느새 흐지부지 되어버렸다.

퇴사이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졌는데, 시간이 훅훅 가버려서 다시 스마트노트를 실천할 때가 되버린 것같다.

그래서 이번 달의 목표는 스마트노트를 재개하는 것으로!

일주일간 매일 스마트노트를 실천해본 결과

일주일간 명상해보기로 한 주간 뭐 시도해보기에 맛 들려서 저번 주엔 스마트노트를 실천해 봤다.

스마트노트술 : TheLibraryOfBabel

간단히 말해서 노트를 펴서 오른쪽에 논리적인 사고를, 왼쪽에 자유로운 발상과 낙서를 적는 개념이다.

그동안 스마트노트술 책을 읽고 하다 말았다 했었다. ?현재 3권째 실행중인데 ?올해 초 했다가 거의 손 놓고 있었다.

첫 스마트 노트. 현재는 3권째 진행중.

 

일주일 동안 매일 해보고 느낀 점은 다음과 같다.

  • 처음 2~3일은 잘 되는데 그 후부터 생각의 거리가 없어져서 쓸 말이 없었다. 평소에 생각을 많이 안 한다는 것의 방증인듯.
  • 그래도 꾸역꾸역 매일 했다. 이것은 일종의 무술에서 형(투로, 품새, 카타)의 수련과 같다는 느낌이다. 동작과 힘을 운영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처럼, 사고하는 방법을 익히는 수련이라는 느낌. 그래서 적을 말이 없어도 매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 적을 거리가 없다는 것은 평소에 생각 없이 산다는 뜻이고, 이는 수동적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원인은 회사 생활이겠지…)
  • 일년 정도 하면 뭔가가 바뀐다고 하는데, 바뀔 것같다는 생각은 들지만, 과연 일년 동안 매일 실천할 수 있을까.

계속 하면 내안에 생각 거리가 축적이 되고 그것들이 서로 링크로 연결되는 과정이 일어나서 일종의 식견을 갖출 수 있을 것같다.

P.S. 명상은 2주째 매일 실천중인데 아직 1주 때와 큰 차이는 없는 상황이다.

See also?자신감의 근거 at mono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