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와 인공지능, 그리고 우려에 대해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면서 AI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이 나온다. 우리 일자리도 빼앗고 AI가 왜 그런 결론을 내렸는지 우린 알 수 없으니 어떻게 신뢰할 수 있냐는 등의 우려가 그것이다.

see also?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 coolspeed?

이와관련, 테드 창은 사고 실험을 해서 ‘인류 과학의 진화’라는 글을 남겼다. AI(메타인류)가 발달해서 인간의 지성을 뛰어넘는다면, 메타인류가 과학분야를 인간보다 저 멀리 앞서서 발견해 나가게 될 것이고 남겨진 인류는 그 결과물을 한 참 뒤에서 해석하게 되는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메타인류 과학이 많은 이득을 가져다 준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지만, 그것이 인류 연구자들에게 끼친 악영향 중 하나는 장래에 자신들이 과학에 대해 독창적인 공헌을 할 가능성은 이제 거의 없다는 사실을 그들이 깨달았다는 것이다. 연구자들 일부는 완전히 과학에서 손을 뗐지만, 뒤에 남은 사람들은 원래의 연구 분야에서 해석학 쪽으로 눈길을 돌렸다. 메타인류의 과학적 업적을 해석하는 학문 쪽으로.

…(중략)…

우리는 메타인류 과학의 성과에 위협을 느낄 필요는 없다. 메타인류의 존재를 가능케 한 여러 과학기술은 본래 인류에 의해 발명된 것이며, 그들은 우리보다 더 똑똑하지도 않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언제나 명심해야 한다.

– 테드 창, 인류 과학의 진화(당신 인생의 이야기 중)

듀나는 더 나아 갔다.

만약 반혁명을 포기한다면 우리의 위치는 어떻게 될까? 우리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더 이상 능가할 수 없는 존재 밑에서 안존하며 새로운 존재 의미를 찾는 방법을 알게 될까?

이런 의문들로 편두통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나는 호텔 전망탑으로 올라가 역사 선생이 그토록 사랑하는 도시의 모습을 내려다본다. 마치 버스비 버클리의 댄서들처럼(그래, 나는 이제 그가 누구인지 안다) 치밀하고 아릅답게 움직이는 거대한 기계들의 춤을 넋 놓은 채 보고 있노라면 나는 대충 해답을 알게 된다. 우리가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저들이 이룩한 업적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을. 저 아름다운 기계들이 존재하는 한, 우리가 존재 이유를 잃고 도시의 틈 사이로 사라진다고 해도 후회할 이유는 없다는 것을. 그리고 무엇보다 자식들의 앞길을 막는 부모보다 추한 것은 없다는 것을.

– 듀나, 기생 (태평양횡단특급중)

솔직히 말하면 내 심정도 이와 같다.

 

기억의 불완전성과 Life Log

지난 2월, 우디 앨런과 양녀 딜란 패로우의 기사들을 봤을 때 떠오른 TED 동영상이 있었다.

 

이중 가장 와 닿는 표현은 기억은 위키페디아와 같다는 표현이다. ?인간의 기억은 정말 불완전하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

오늘 뉴스피드를 보다가 아래 기사를 발견했다. 역시 사람은 다들 생각이 비슷하다.

이런 불완전한 인간의 기억 때문에 디지털기기가 발전한 지금 LifeLog에 대한 웹서비스나 앱, 기기 등이 등장하고 있다.?스마트폰만 봐도 이와 관련된 앱이 무척 많이 나오고 있고 관련 주변기기도 매년 새로운 것이 등장하고 있다.?

Ted Chaing은 2009년 그의 강연해서 우리가 SNS나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등등의 기기로 알게 모르게 우리의 일상 생활에 대해 라이프로깅을 하기 시작했고, 궁극적으로 일생을 녹화할 수 있게 되었을 때를 가정한 사고 실험을 말한 적이 있었다.

… 미래에 아마도 20년쯤 후, 여러분 인생 전부를 녹화해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매우 정확한 세부적인 다이어리가 되는 것이죠. 웹 블로그가 아닌 라이프 블로그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왜 그런 것을 하느냐,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20년 전 저는 사람들이 블로깅을 하고 유트브에 영상을 게시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저장 비용이 충분히 낮아진다면 사람들은 분명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려 할 것입니다. ??이제 여기에 향상된 검색엔진 기술을 더해봅시다. 여러분은 작년 10월 오후 4시 반에 내가 누구와 무엇에 대해 이야기를 했나, 라고 검색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친구가 추천해준 책 이름이 뭐였지? 내가 이 농담을 마지막으로 한 게 언제이지? 라는 등의 검색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여러분이 개인용 시간탐사기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돌이켜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날개를 펴는 곳 : [기록] PIFAN 테드 창 강연회를 가다!?

이 경우 기억과 기록의 충돌 등의 문제도 나오고 ?여러가지 사회적 변화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Ted Chiang은 이를 소재로 멋진 소설을 썼다.

작년 킥스타터에서는 Memento라는 기기가 올라왔다. ?옷에 부착할 수 있는 작은 클립모양의 디카인데, 30초에 한 번씩 사진을 촬영하여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는 툴이다.

이것이 펀딩에 성공하여 드디어?Narrative Clip이라는 이름으로 제품이 나왔다.

Narrative from Narrative on Vimeo.

뭐랄까 사고실험이 현실화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정신을 못 차리겠다.

(여러 라이프로깅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라, 어쩌면 곧 구매할지도..)

SF팬덤은 왜 베르나르 베르베르를 싫어하는가

SF팬덤에서 바로 어그로를 끌 수 있는 말

“저도 SF 좋아해요! 베르나르 베르베르 다 읽었어요!”

이 한마디로 SF팬덤의 뒷목을 잡게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왜 이렇게 SF팬덤은 베르나르 베르베르를 싫어할까?(무시할까?)

어느분께서도 이를 신가하게 여기셨는지 페이스북에 질문을 올리셨다.

12469685595_070f9a917c

?이 중에서 괜찮은 답변들이 올라왔다.

12470191424_eb6668c155

12470191484_4966af5464

그렇다. 엄청나게 진부하고 SF문학계에서는 다룰 데로 다뤄서 교통정리가 완전히 끝나버린 개념을 마치 새로운 것인 양 들고 나오는데 기존 작품보다 훨씬 진부하기 때문에 ‘뭐야 이거’? 싶어지는 것이다.

궁금해서 검색해 보니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 듯.

대부분의 사람들이 베르베르의 근작들을 읽으면서?아 나도 이런 생각 했던 적 있어라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일부에서는?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보았지만 그냥 넘어간 공상을 글로 만들어서, 읽는 사람이 나도 실은 기발한 사람이구나 하고 생각하도록 지적 허영심을 살살 긁어주는?특징이 있다고 평하기도 했다.

…. 뭔가 지적인 이미지로 포장한 마케팅을 펼치지만(국내의 경우) 막상 읽어보면 그 지식이란게 잡다하기만 할 뿐 대체적으로 얄팍하다. 물론 개미는 제외.

from?RigVeda Wiki (β): 베르나르 베르베르?

딱 완벽하게 들어맞진 않지만, 그럭저럭 그에 대한 심정을 어느정도 설명해주는 내용이다.

그런데 SF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좀 이게 먹히는 듯. 시골의사가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블로그에 소개했을 때 댓글에 이어진 논쟁(이라고 쓰고 코메디)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이 책은 어설프게 알고 있는 풋내기 작가의 낙서에 불과합니다. SF적인 요소는 인정할 수 있지만, 그 분야엔 이미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독보적인 자리를 잡고 있지요.

이 작가와 유사하게 과대평가된 작가가 ‘일식’으로 아쿠타카와상을 탄 히라노 게이치로이죠. 역시 풋내기에 눈먼 일본 문단이 준 잘못된 선택이었습니다.

차라리 움베르토 에코와 파울로 코엘류 혹은 보르헤스를 다시 정독함이 더 나을 듯 합니다.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댓글 중

그러고보니 2004년 경엔 이런 글로 SF팬덤의 어이를 상실하게 만든 평론가도 있었지.. (2014.02.14 추가)

심사를 맡은 문학평론가 이남호씨는 “베르베르의 상상력은 삶과 세상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상 과학소설과 구분된다”고 밝혔다.

-?베르베르 ´나무´토대로 한 공모작 나와 – 중앙일보 뉴스

뭐랄까 결코 넘을 수 없는 간격이 느껴진다.

?

관련 코멘트 추가 (2014.02.12?23:26:31)?

베르베르4

관련 코멘트 추가 (2014.02.14 23:26:31)?

Ember

추가?2016.03.02(수요일)

추가?2017.10.28(토요일)

https://twitter.com/lifedefrager/status/924222833047224320

 

P.S.

twitter log 20090722

  • 00:53 테드 창 홈파티 준비를 위해 장봐왔다. 나는 못마시는 술을 이렇게 많이 사야하다니! 테드창도 술 못마시는데!
  • 09:25 우왕. 댓글 감동. http://bit.ly/J8Gkg
  • 09:31 @worldpsj 언젠가
  • 13:08 일식보다가 눈이 좀 이상해진 듯.
  • 13:35 @apnaidel 아 그런걸지도! 인상쓰면 공간이동할수있을란가..
  • 15:34 테드창 홈파뤼~. 어영 퇴근하고프다.

Powered by twtr2src.

테드창 집들이

일식이 있었던 이 날, 테드창 초청 집들이를 했다. 뭔가 SF적인 날인듯.

그는 역시 결말을 구상한 상태에서 집필을 하며 인물들 의도대로 통제하고 멋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고 한다. 소설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는데 이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롭게 알게된 사실도 있었는데, 테드창은 음악을 잘 안듣는다고 한다. 음악을 들으면서 다른 일을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운전할 때 말고는 음악을 듣는 일은 거의 없다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역시 MS 워드. 맥의 Scrivner나 Together등의 집필 지원 프로그램은 사용하지 않는듯하다. 테크노라이터이기 때문에 호환성 문제? 등으로 과거 워드스타를 썼으나 결국 워드로 바꿨다고.

트위터나 블로그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자기한테는 이메일만으로 충분하다고. 조금은 의외.


또 알게된 사실은, 테드창은 고양이파. 여자친구 마르시아와 함께 고양이 네마리를 기르고 있다. 입양한 고양이가 임신한 상태로 와서 4마리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면서 본래 작가는 개보다는 고양이파아니냐고 언급.

나의 커피추출 실력을 자랑하고 싶었으나 테드창은 술뿐 아니라 커피도 안마신다고. 대신 여자친구 마르시아가 커피를 마셔보고 굉장히 맛있다고 칭찬해줬다.

또한 치즈케익이 미국에서 먹는 것 처럼 너무 무겁지 않고 산뜻하다고 감탄을 했는데…. 그 치즈케익은 코스트코 케익… ^^;;


파티준비를 도와주신 상훈님과 쿄코님께 감사.

빡빡한 스케줄이라 많이 피곤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관련 질문이 나오면 눈이 반짝이면서 그에 대한 대답을 하는 모습이 멋졌다.

시간이 늦어져서 차로 호텔로 바래다 드리면서 계속 이야기를 했다.

깨닫게 된 것은 나의 영어실력은 역시 ‘관광지 영어’로 특화되었단 사실. 알아든는 것은 알아듣지만, 막상 말하려고 하니 간단한 것 외에는 문장 구성이 안된다. 떠오르는 단어들을 얘기하고 테드창이 이러한 질문이냐? 고 물어보게 한 후 대화가 진행되었다.

참석했던 모든 사람들이 다 즐겁게 보낸 듯 해서 무척 기분이 좋았다. 이제 앞으로 SF작가가 한국에 오면 우리집에서 파티하는 것이 통과의례가 될지도?

See also
Captain Jayway’s Personal Log | 2009년 7월 22일 수요일
서늘한 홈페이지 :: 제이님&동진님 집들이 겸 테드 창과의 만남
아스네 다락방 :: 홈파티
동굴의 소리 :: 제이님 집들이를 빙자한 테드 창 환영 모임 후기를 빙자한 테드 창 여친 이야기